A. 단답식 문제 - 다음 문제들의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교과서에 있는 대로 적으시오. (문제당 1점)
1. ( )(이)란 단순히 사물과 사태를 부정적인 시각에서 보는 것이 아니라 옳고 그름을 가리기 위해 냉철하게 지적으로 따져 묻는 것을 의미한다.
2. 철학은 문제 상황에 대한 인간의 지적 대응에 있어 ( )의 역할에 대한 확고하고도 분명한 신뢰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.
3. ( )의 주체는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이므로 대중은 문화상품을 소비할 기회는 많이 얻지만 문화 창조자가 아니라 수동적․쾌락적 인간으로 조작될 가능성도 있다.
4. 현대소비사회에서 대중문화를 충족하는 욕망은 사용가치가 아니라 ( )에 대한 욕망이다.
5. 정보사회로의 변화에 대한 낙관론은 정보사회가 쌍방향 의사소통을 이용하여 ( )(을)를 확대하고 창조적인 일에 종사할 가능성을 늘이고 문화의 전세계적 유통에 이바지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.
6. 컴퓨터의 이용과 관련하여 대두한 새 문화형태를 ( )라 부른다. 이 문화는 컴퓨터 게임에서 보듯 환각체험이 특징이다.
7. 인간의 이기적 충동적 본성을 주장하는 입장은 근세 자연과학적 성과 특히 ( )의 등장과 함께 더욱 강화된 설득력을 행사하면서 오늘날 지배적인 인간관으로 자리 잡았다.
8. ( )(은)는 무의식에 대한 통찰력 있는 분석을 통해 전통적인 이성주의적 인간관을 깨고 충동적 이기적 공격적 인간관을 내세운다.
9. 바타이유에 따르면 ( )의 위반은 비난해야 할 일이 아니라 사람의 사물화를 막고 문명발달의 새동력을 얻는 길이다.
10. 페미니즘 담론은 갈래가 여럿이지만 “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( )”는 관점을 공통의 출발점으로 삼는다.
B. 주관식 문제 - 다음의 문제에 대해 아래 답안지에 각각 5줄 이상 논하시오. (문제당 10점)
1. 인간의 본성에 관한 다음의 입장들 중 한 입장을 선택하여 논하시오. (한 가지 입장만 택할 것)
a) 고전 고대 사상
b) 공리주의
c) 홉스
2. 양성평등의 구현을 위한 구체적 방안들을 소신껏 제시해보시오.
|